검은 집(Black House), 귀신보다 무서운 것은 사람..?
2007. 7. 1. 00:57ㆍLife/영화
'사이코패스 공포 스릴러'를 표방한 이 영화는 사이코패스(psychopath)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영화 내에서는 사이코패스를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라면 살인까지도 저지르며 그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마음이 없는 자들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이코패스는 1920년대 독일학자인 슈나이더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는데, 이는 '성격 탓으로 인해 타인이나 자기가 속한 사회를 괴롭히는 정신병질'을 뜻한다고 합니다. 미국 연쇄살인범의 90% 이상이 사이코패스에 속한다고 합니다. 이들은 웃는 모습과 우는 모습을 잘 구별해내질 못한다고 합니다. 타인의 슬픔과 기쁨을 판단하는 정서 정보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초기에 발견하면 환경적 요인의 제거를 통해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미 성장해버린 경우에는 치유가 불가능하고 격리하는 방법뿐인 그들이지만 사회 속에 묻혀서 평범하게 지내는 이들도 대다수이기 때문에 발견하기 쉽지 않다고 합니다.
영화에서 황정민씨는 보험사 심사담당원인 전준오 역으로 나옵니다. 그가 보험사에 입사한 지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자신을 만나고 싶다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외딴 시골마을의 집으로 방문을 하게 됩니다. 그는 그곳에서 고객의 아들이 목을 매어 자살한 현장을 직접 목격하게 되지만, 준오는 같이 있던 아이의 아버지 박충배(강신일 분)의 묘한 눈빛을 기억해내며 석연치 않음을 감지하고 사건의 진실을 조사하려 합니다.
사이코패스 공포 스릴러라고 하지만, 솔직히 영화를 보고 난 사견으로는 사이코패스 고어물이라고 부르는 편이 좀 더 어울려보입니다. 스릴러라고 하여 저도 반전을 살짝 기대했고 영화 평들을 봐도 반전에 대한 얘기가 좀 보이는데, 이 영화의 범인은 영화가 얼마 지나지 않아 금세 알 수 있게 됩니다. 이 영화의 재미는 범인을 짜맞추는 반전 영화가 아니라 인간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워질 수 있는가에 맞춰져 있습니다.
초반엔 얘기가 다소 긴박감 있게 진행되면서 팽팽함이 좀 느껴지지만, 중반부를 넘어서면서 범인이 공개된 이후로는 잔혹한 고어물로 변신하며 화면에선 피비린내가 진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장면, 장면들은 목적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이코패스의 특징을 표현하려 애쓴 것으로 보입니다.
고어물이기도 하지만, 영화는 충분한 공포감을 안겨줍니다. 여름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귀신 영화에서 나오는 그런 공포감이 아니라, 사람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비현실 속의 귀신이 아니라 영화를 보는 와중에도 바로 옆에 앉아있을 수도 있는 현실 속의 사람에 대한 공포를 느끼게 해줍니다. (뭐 그렇다고 영화를 보시고 나서 대인기피증이나 사람에 대한 절대적 불신이 생기면 곤란합니다;;) 그런 면에서 이전의 깜짝깜짝 놀래기 식의 귀신 영화에 비해서 더 많은 공포감을 주기도 합니다.
마지막 장면은 제가 생각해볼때 두가지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가지는 자신이 저지른 짓에 대한 후회로 인한 것입니다. 그렇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해 용서를 받고 싶었을 지도 모르겠지요. (이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뒤에서 말할 유선씨의 눈망울 때문입니다;)
다른 한 가지는 준오가 용서받지 못하고 계속해서 죄책감 속에서 살아가게끔 버려두는 것입니다. 그것으로 그녀의 삶이 방해받은 것에 대한 복수가 될 수 있을테니까요.
사이코패스는 1920년대 독일학자인 슈나이더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는데, 이는 '성격 탓으로 인해 타인이나 자기가 속한 사회를 괴롭히는 정신병질'을 뜻한다고 합니다. 미국 연쇄살인범의 90% 이상이 사이코패스에 속한다고 합니다. 이들은 웃는 모습과 우는 모습을 잘 구별해내질 못한다고 합니다. 타인의 슬픔과 기쁨을 판단하는 정서 정보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초기에 발견하면 환경적 요인의 제거를 통해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미 성장해버린 경우에는 치유가 불가능하고 격리하는 방법뿐인 그들이지만 사회 속에 묻혀서 평범하게 지내는 이들도 대다수이기 때문에 발견하기 쉽지 않다고 합니다.
자아... 잡설은 이 정도까지만 하고 영화 얘기로 들어가보겠습니다.
영화에서 황정민씨는 보험사 심사담당원인 전준오 역으로 나옵니다. 그가 보험사에 입사한 지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자신을 만나고 싶다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외딴 시골마을의 집으로 방문을 하게 됩니다. 그는 그곳에서 고객의 아들이 목을 매어 자살한 현장을 직접 목격하게 되지만, 준오는 같이 있던 아이의 아버지 박충배(강신일 분)의 묘한 눈빛을 기억해내며 석연치 않음을 감지하고 사건의 진실을 조사하려 합니다.
검은집의 전준오(황정민)
사이코패스 공포 스릴러라고 하지만, 솔직히 영화를 보고 난 사견으로는 사이코패스 고어물이라고 부르는 편이 좀 더 어울려보입니다. 스릴러라고 하여 저도 반전을 살짝 기대했고 영화 평들을 봐도 반전에 대한 얘기가 좀 보이는데, 이 영화의 범인은 영화가 얼마 지나지 않아 금세 알 수 있게 됩니다. 이 영화의 재미는 범인을 짜맞추는 반전 영화가 아니라 인간이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워질 수 있는가에 맞춰져 있습니다.
초반엔 얘기가 다소 긴박감 있게 진행되면서 팽팽함이 좀 느껴지지만, 중반부를 넘어서면서 범인이 공개된 이후로는 잔혹한 고어물로 변신하며 화면에선 피비린내가 진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장면, 장면들은 목적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이코패스의 특징을 표현하려 애쓴 것으로 보입니다.
박충배로 열연하신 강신일씨
고어물이기도 하지만, 영화는 충분한 공포감을 안겨줍니다. 여름이면 흔하게 볼 수 있는 귀신 영화에서 나오는 그런 공포감이 아니라, 사람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비현실 속의 귀신이 아니라 영화를 보는 와중에도 바로 옆에 앉아있을 수도 있는 현실 속의 사람에 대한 공포를 느끼게 해줍니다. (뭐 그렇다고 영화를 보시고 나서 대인기피증이나 사람에 대한 절대적 불신이 생기면 곤란합니다;;) 그런 면에서 이전의 깜짝깜짝 놀래기 식의 귀신 영화에 비해서 더 많은 공포감을 주기도 합니다.
마지막 장면은 제가 생각해볼때 두가지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가지는 자신이 저지른 짓에 대한 후회로 인한 것입니다. 그렇게 행동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해 용서를 받고 싶었을 지도 모르겠지요. (이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뒤에서 말할 유선씨의 눈망울 때문입니다;)
다른 한 가지는 준오가 용서받지 못하고 계속해서 죄책감 속에서 살아가게끔 버려두는 것입니다. 그것으로 그녀의 삶이 방해받은 것에 대한 복수가 될 수 있을테니까요.
평점: ★★★☆☆
'Life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을 감아도 느낄 수 있을듯한 영화, 원스(once)... (4) | 2007.10.09 |
---|---|
아담 샌들러의 유쾌한 게이 코미디, 척 앤 래리를 보다 (0) | 2007.09.15 |
워커홀릭의 이야기가 담긴 영화, 사랑의 레시피 (2) | 2007.09.03 |
향의 소유를 간절히 원한 사람의 이야기, '향수' (3) | 2007.06.12 |
가슴 아픈 이야기, '밀양' 을 보고 느끼다... (8) | 2007.05.28 |
주전자를 들고 훨훨 날아라 허동구! (0) | 2007.05.13 |